꿀팁84 고향사랑기부제로 기부하고 연말정산 혜택 받기(feat. 세액공제) 12월이 되면서 연말정산을 준비하시는 분들 많으시죠? 올해 처음으로 생긴 고향사랑기부제라는 것이 있는데 알고 계셨나요? 세액공제가 되기 때문에 이득이 많은 항목인데,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세액공제 한도 고향사랑기부제로 고향에 기부를 하게 되면, 지자체에서 주민들의 복지에 활용하는 제도 인데요, 이때 기부한 금액에 대해서 연말정산 시 10만원까지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세액공제란, 연말정신 시 내야될 세금에서 특정한 항목에 대한 세금을 공제, 즉 빼주는 것입니다. 고향사랑기부금이라는 항목은 올해 처음 생겼습니다. 고향에 연간 10만원까지 기부하면 100% 세액공제를 해주고, 10만원이 넘어가면 초과분에 대해서 16.5%를 세액공제 해줍니다. ex) 2023년에 20만원을 기부 했다면, 10만원은 .. 2023. 12. 11. 기초대사량 계산기, 기초대사량 늘리는 방법 기초대사량 계산기를 들어보신 적이 있나요? 다이어트를 할 때 중요한 것이 바로 기초대사량입니다. 다이어트를 하지 않더라도 현재 상태를 파악하고 싶은 분들도 계실 것입니다. 이번에는 기초대사량을 계산하는 방법과 기초대사량을 늘리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기초대사량이란? 기초대사량은 생명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한의 대사량을 말합니다. 우리 몸이 가만히 있어도 뇌, 심장, 장기 등이 일을 하고 있는데 이때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를 의미합니다. 즉, 우리 몸이 작동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에너지량입니다. 그러나 똑같은 양의 음식을 먹어도 20대와 40대는 포만감이나 칼로리 소비가 다릅니다. 이것은 나이가 들수록 체중이 증가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그래서 기초대사량을 꾸준히 늘려서 적정한 체중을 유지.. 2023. 5. 11. 12간지 순서, 뜻, 유래 2023년은 계묘년인, 검은 토끼의 해입니다! 12간지 순서로 따지면 4번째인 '묘'에 해당합니다. 종종 우리는 띠를 물어보고, 나이나 연도를 유추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왜 띠라는 개념에는 동물이 쓰이기 시작한 것일까요? 그리고 12간지 순서는 어떻게 정해진 것일까요? 12지신이란? 12지신이란 12마리의 동물로, 땅을 지키는 십이신장 혹은 십이신왕으로 불리웁니다. 세상의 모든 잡귀를 몰아내며 마을을 지킨다고 합니다. 이러한 12마리의 동물은 자(子, 쥐), 축(丑, 소), 인(寅, 호랑이), 묘(卯, 토끼), 진(辰, 용), 사(巳, 뱀), 오(午, 말), 미(未, 양), 신(申, 원숭이), 유(酉, 닭), 술(戌, 개), 해(亥, 돼지)이라고도 불리며, 방위와 관련된 시간 신으로 받들어졌습니다. 각각.. 2023. 5. 9. 연봉 실수령액 계산하는 방법, 내 월급은 과연 얼마? 경제는 침체되고 물가와 금리는 오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근로자들은 세금을 제외하고 실제로 받는 월급의 실수령액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실수령액은 4대 보험 금액을 제외한 금액을 계산해야 합니다. 그러나 계산하는 것이 어렵습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방법과 세금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연봉 실수령액 계산하는 방법 요즘, 검색을 통하면 다양한 곳에서 연봉 실수령액 표를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대략적인 금액으로만 표시되어 있어서 정확한 연봉을 파악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만약 나의 연봉을 정확하게 알고 싶다면, 계산기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때, 2023년 연봉 실수령액을 계산하는 가장 흔한 방법 중 하나는 사람인 사이트를 활용하는 .. 2023. 5. 7. 이전 1 ··· 9 10 11 12 13 14 15 ··· 21 다음